"Sinner Man"은 Peter Tosh가 커버했을 때 이미 심오한 발전을 겪은 뒤였습니다. 원래는 흑인 영가였으며, 영가 부흥 운동, 미국 포크송 부흥 운동 및 빅 밴드 시대를 거쳐 Nina Simone의 앨범 <*Pastel Blues>*에서 지금과 같은 곡으로 굳어졌죠. Peter는 1977년 앨범 <*Equal Rights>*에 이 곡을 녹음하며 제목을 "Downpressor Man"으로 바꿨습니다. 원곡은 성경의 출애굽기에서 그 교훈을 가져왔지만, 제목을 바꾸면서 1962년 영국에서 독립한 자메이카에 존재하던 사회적 불평등을 겨냥한 곡이 되었습니다. 노래의 메시지는 그대로지만, 곡의 몇 군데를 라스타파리아니즘식으로 재구축했습니다. 이를 통해 Peter는 영가에 담긴 의미와 역사를 이용하여 고국의 사회적 문제를 정면으로 다룰 수 있었습니다.
지금 살아 있는 사람 중 그 누구도 "Sinner Man"의 원래 작곡자가 누군지 모릅니다. 대부분의 영가는 구전을 통해 전해지기 때문에 더욱 그렇습니다. 이러한 정보의 부재는 생각보다 중요한 일입니다. 원작곡자와 그에 따라오는 저작권이 노래를 기록하거나 녹음하고 이를 발표한 연구자(대부분 백인)에게 돌아가기 때문이죠. 많은 사람들은 곡을 처음 녹음한 음악가인 Will Holt나 Lex Baxter를 원 작곡자로 인정합니다. 다른 사람들은 포크 앙상블 The Weavers를 곡의 원작곡자로 쳐 주는데, 이들은 보다 늦게 곡을 녹음했으며 그들조차 다른 신원 미상의 작곡자에게 그 공을 돌렸습니다. Nina Simone이 1965년 이 노래(당시 "Sinnerman")를 불렀을 때, 그녀는 자라오면서 들었던 영가를 기반으로 10분이 넘는 음악적 심판에 그 에너지를 쏟아 넣었습니다. 원 작곡자를 알 수 없어 좋은 부분 하나는 아티스트가 저마다 자신만의 색을 입힐 수 있다는 점입니다. 재해석을 거치면 거칠수록 과거와 현재 사이에 소통이 이루어져 새로운 의미와 영향력이 부여됩니다.
Nina Simone의 "Sinner Man"은 최근 Talib Kweli와 Timbaland가 샘플링한 적 있습니다. 그럴 때마다, 곡의 역사가 지금 이 순간 어떻게 다가오는지 알 수 있지요.
Peter가 연주한 버전은 Nina의 곡과 공통점이 많지만, 그가 노래로 말하고자 했던 바를 담기 위해 중요한 변경 사항이 일부 적용되었습니다. 사실 두 가지 버전이 있었습니다. 1971년 Wailers와 함께 녹음한 버전과 <*Equal Rights>*에 실린 버전입니다. 둘 다 Peter만의 특징이 잘 묻어나도록 가사에 미묘하지만 중요한 수정이 들어갔습니다.
"Downpressor Man"의 가사 변경에서 가장 주목해야 하는 부분은 화자의 시점이 일인칭에서 삼인칭으로 바뀐 점입니다. 초기 버전에는 죄악에 대한 내면적인 자세가 그대로 유지되어 있습니다. 개인의 죄에 대해 말하며 그 결과를 "I ran to the rock(나는 바위로 달아났네)" 또는 "I ran to the sea(나는 바다로 달아났네)" 같은 가사에 담아내죠. Nina는 긴급한 느낌의 퍼포먼스로 압제와 죄악의 연결성을 내비칩니다. Peter의 버전에서는 표현이 더욱 적나라하게 바뀝니다("downpressor(누르는 자)"라는 말 자체가 "oppressor(압제자)"라는 단어를 라스타파리나이즘식으로 바꾼 것이니까요). 가사 또한 "YOU can run to the rock(너는 바위로 달아날 수 있어)"와 "YOU can run to the sea(너는 바다로 달아날 수 있어)"로 변주됩니다. 곡에서 화자의 시점을 바꿈으로써, 메시지 또한 개인을 향한 것에서 집단을 향하게 되었습니다. 개인의 죄가 아닌, 개인을 넘어선 사회의 죄가 된 것이죠.
많은 상황에서 청자는 작곡가 개인의 표현이라는 형태로서 곡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도록 종용받습니다. "Downpressor Man"에서 Peter Tosh는 이미 사회적 정의를 위해 투쟁하는 음악가들이 널리 사용하여 유명해진 곡을 가지고 그가 자메이카에서 목격한 정치적, 사회적 및 경제적 부당함을 표현해 냈습니다. "Sinner Man"과 "Downpressor Man"이 가진 복잡한 역사는 이 곡의 메시지에 전혀 해가 되지 않습니다. 오히려, 어떻게 보면 그 메시지를 더욱 강렬하게 만듭니다. Peter의 버전은 커버 곡이 어떻게 원곡의 메시지를 재창조하여 사람들에게 새로운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보여주었습니다. 이러한 사례는 Peter의 곡 말고도 여럿 있죠. 강렬한 메시지가 담긴 곡은 그 배경을 알아볼 만한 가치가 있습니다. 특히 커버 곡이라면 말이죠. (※본문에 포함된 모든 링크는 영문 사이트로 연결됩니다. 제품에 대한 정보는 국내 유통 정보와 상이할 수 있으니 양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Margaret Jones는 다양한 악기를 연주하는 작곡가이자 음악 교사로 캘리포니아 오클랜드에 거주하고 있습니다. 직접 결성한 M Jones and the Melee 프로젝트 그룹을 포함한 여러 지역 밴드에서 기타를 연주하고 있습니다. UC Berkeley에서 음악사 박사 학위를 받았고, San Francisco Conservatory of Music에서 강의하고 있습니다.
Peter Tosh <Equal Rights> 앨범 아트 저작권은 Sony Music Entertainment 에 있습니다.
이 아티스트에 대해 더 알아보고 싶으신가요? Rocksmith+로 아티스트의 음악 연주 방법을 배우세요.